명절 차례상 음식 및 상차림 방법(공통, 지역별)
우리나라 최대 명절 설날이 다가오고 있다. 매년 돌아오는 명절이지만 아직도 차례상 차리는 법이라든지 예절 같은 건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는 미리미리 준비해서 실수 없이 완벽한 설명절을 보내도록 하자.
가족, 친척, 고향, 귀성길, 선물세트 등등. 그리고 또 하나 빠질 수 없는 게 있으니 바로 제사다. 제사는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의식이자 후손으로서 지켜야 할 소중한 전통문화이기도 하다. 다만 시대가 변하면서 예전과는 조금 달라진 풍경이 눈에 띈다.
명절 차례상 음식
설 명절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으로는 떡국 외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 우선 삼색나물로는 도라지, 시금치, 고사리가 있는데 각각 뿌리채소, 잎채소, 줄기채소를 상징한다. 그리고 생선류로는 조기, 민어, 도미, 대구 등이 올라간다. 과일로는 사과, 배, 감, 대추, 밤 등이 있으며 포종류로는 육포, 어포, 북어포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과자류로는 약과, 산자, 강정 등이 올라가는데 조상님께 감사드리는 마음을 담아 정성껏 준비하면 된다.
지역 별 차례상 음식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은 지역별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제주도는 메밀로 만든 빙떡을 올린다. 강원도는 감자전과 메밀전병 그리고 도토리묵을 주로 올린다. 경상도는 돔배기 산적과 문어 숙회를 올리며 충청도는 배추전을 부친다. 마지막으로 전라도는 홍어찜과 병어조림을 올린다고 한다. 이렇게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음식을 올리는 이유는 조상님께 감사 인사를 드리는 동시에 가족끼리 화합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다리가 휘어질 정도로 푸짐하게 차려야 한다는 고정관념은 버리는 게 좋다. 물론 정성만큼은 가득 담아야겠지만 말이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우선 차례상은 북쪽을 향해 놓는다. 그리고 신위 쪽에서부터 1열, 2열, 3열 순으로 배치하는데 이때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방향으로 둔다. 또 과일은 홀수로 올려야 하며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쓴다. 마지막으로 삼치, 꽁치, 갈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은 쓰지 않는 게 좋다.
지역 별 차례상 차리는 방법
설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서울·경기도는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또 경상도와 충청도는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둔다. 강원도는 생동숙서(生東熟西), 생채는 동쪽, 숙채는 서쪽에 올린다. 마지막으로 전라도는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두는 것이 원칙이다. 이렇게 각 지역별로 상차림 방식이 다른 이유는 조상님께 올리는 제사상의 기본 정신이 다르기 때문이다. 유교에서는 죽은 이의 영혼이 머무는 공간을 신위(神位)라고 하는데 이곳엔 오직 살아있는 사람만이 들어갈 수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산 사람 중심으로 상을 차려야 한다고 본 것이다.
차례와 제사의 차이
차례는 제사의 한 종류이지만 엄연한 차이가 있다.
‘제사’는 신에게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돌아가신 분을 추모하는 의식을 말합니다. 이때 조상이 돌아가신 날 치르는 제사를 ‘기제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명절날 아침에 모든 4대 조상에게 감사인사를 드리기 위해 지내는 약식 제사를 '차례'라고 합니다. 또 차례에는 밥고 탕 대신 계절 특식을 사용 합니다. 설 차례를 ‘떡국차례’라 하고 추석에 메 대신 송편을 올리는 것과 같습니다.
차례와 제사의 방법
제사는 절차가 복잡하고 절차가 까다롭다고 생각 할 수 있지만 기본 구조만 안다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기본적으로 제사의 구조는 크게 신을 부르는 청신, 술과 음식으로 조상을 즐겁게 하는 오신, 다 드시면 보내 드리는 송신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차례나 제사의 방식이 집안마다 조금의 차이가 있지만, 조상을 청하는 분향 강신과 음식을 다 드신 후 보내 드리는 송신의 구조는 같다.
둘의 차이점이라면 차례는 제사와 달리 분향 강신 후 축문도 없고 술잔도 한 번 올리는 무축단잔의 약식 제사다. 기제사처럼 술잔을 세 번 올리는 것을 제사라 하여 차례와 구분하기도 했다.
기제사는 축문을 읽는 삼헌독축으로, 향을 피우고 술을 부어 조상님을 초청하고 첫잔(초헌)을 올린 후 축을 읽는다. 이어 두 번째(아헌), 세 번째(종헌) 잔을 다 드시면 비로소 음식을 든다. 식사를 마치면 보내 드리고 상을 치워 제사를 마친다.
Summary
- 명절 차례상 음식
- 설날에는 떡국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올림.
- 삼색나물로는 도라지, 시금치, 고사리가 있고, 생선류로는 조기, 민어, 도미, 대구 등이 있음.
- 과일로는 사과, 배, 감, 대추, 밤 등이 있고, 포종류로는 육포, 어포, 북어포 등이 있음.
- 과자류로는 약과, 산자, 강정 등이 있는데 조상님께 감사드리는 마음을 담아 정성껏 준비하면 됨.
- 지역별 차례상 음식
- 제주도 메밀로 만든 빙떡
- 강원도 감자전과 메밀전병 도토리묵
- 경상도 돔배기 산적과 문어 숙회
- 충청도 배추전
- 전라도 홍어찜과 병어조림
- 차례상 차리는 방법
- 차례상은 북쪽을 향해 놓는다.
- 신위 쪽에서부터 1열, 2열, 3열 순으로 배치한다.
-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방향으로 둔다.
- 과일은 홀수로 올린다.
-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쓴다.
- 삼치, 꽁치, 갈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은 쓰지 않는다.
- 지역 별 차례상 차리는 방법
- 서울·경기도는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
- 경상도와 충청도는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 강원도는 생동숙서(生東熟西), 생채는 동쪽, 숙채는 서쪽
- 전라도는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 제사와 차례의 차이
- 제사는 기제사 라고도 하며, 고인이 돌아가신 날 하는 것
- 차례는 명절에 아침에 지내는 약식제사
- 제사와 달리 탕국, 밥을 올리지 않고 떡국, 송편등을 올림
지금은 고인을 추모한다는 의미가 강하지만 예전에는 집안 어른들끼리 모여 친목을 도모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을 올리거나 자손들 입맛에 맞는 음식을 올리기도 했다. 오늘날까지도 이어져오는 전통 문화이지만 시대 변화에 따라 다소간의 변형이 생기는 것도 무리는 아니라고 본다.
상다리가 휘어질 정도로 푸짐하게 차려야 한다는 고정관념은 버리는 게 좋다. 물론 정성만큼은 가득 담아야겠지만 말이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계좌는 만능일까? 장단점 알아보기 (0) | 2023.01.12 |
---|---|
나에게 맞는 피임약 및 부작용, 주의사항 (0) | 2023.01.11 |
멸균생리식염수 보관과 사용법 알아보기 (0) | 2023.01.07 |
친족상도례 알아보기 (feat. 사기죄 성립요건) (0) | 2023.01.07 |
자동차세 일시납 신청하고 세금 절약 하세요. (0) | 2023.01.07 |
댓글